티스토리 뷰

A bishop talks in hushed tones with Sheila while her two kids colour.

50s: fifities 나이를 말하는 거야. 50s으로 되어 있으니까 50대를 말하는 거지. 50대는 50살이 9개잖아. 뒤에 33도 나이야.
talks in husky tones: husky tones으로 말하다.
tone이 아니라 tones네.  husky/ˈhʌs.ki/는  A voice that is low and rough, often in an attractive way, or because of illness
sits colouring: 앉아서 색칠하다. 이렇게  뒤의 colour를 coluring의 형태로 써서 두가지 동작을 한꺼번에 말할 수 있어. 뭐 sit reading a paper, read a paper eating dinner 등등과 같이 응용할 수 있겠지.

BISHOP: Shiela, you know what good work the church does in  the community.
Bishop의 말은 in husky tones라 깨끗하게 들리지 않아. 하지만 말이란게 사람 사이의 약속과 같은거라 몇개의 단어만 들리면 나머지는 유추가 가능하지.
you know something 너 알잖아 something (something은 what ~ community에 해당)
what good work the church does 무슨 좋은 일을 교회가 했는지 
in the community 커뮤니티 안에서. community 한국말로 바꾸지마. 딱히 마땅한 단어도 없어 보여. 그냥 community로 기억하고 어떤 것인지만 이해해. mother를 굳이 엄마라도 번역안해도 이해가 가잖아.

I give you my personal guarantee that I'm going to take Father out of the parish and this will never happen again.
take Father out of the parish: take out 은 take해서 out시키는 거니까 사람이면 내보내다, 물건이면 꺼내다. 포장이 주문한 거를 밖으로 가져가는 거라 take out이라고 하잖아. 호주에서는 take away라고 다르게 쓰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Fahter Geoghan을 take out 하는 거니까 take Father out 이라고 한거야.
parish /ˈpær.ɪʃ/ 교구. 이렇게 한국말 영어가 1 대 1로 매칭되는 단어는 그냥 parish로 기억하고 교구의 이미지를 떠올려.
this will never happen again 다시는 이런 일이 없을거야. will never happen에 주목하기 바래. never 자체로 부정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별도로 not을 쓸 필요가 없어.

Sheila is lost for words. Burke enters, eyes Sheila nervoursly fingering rosary beads.
rosary beads

fingering rosary beads: rosary beads를 만지작 거리다.

The bishop turns to Burke.

BISHOP: We'll just be another moment, Paul.
우린 하나 더 순간일 거야. (잠시만 기다려). another 는 an + other. 이미 하나가 있고 하나 더. 

BURKE: Of course, Father.

Burke eyes the kids not paying attention to anyting but coloring. Bishop turns back to Sheila.

turn back to Sheila: turn(돌리다) + back(뒤) + to(~방향으로) ~향해 몸을 뒤로 돌리다. Sheila 쪽으로 몸을 돌리다.
eye the kids: eye가 동사로 쓰였어. 사진에서 보이지 Mr.Burke가 얘들이랑 엄마를 뚫어지게 응시하잖아.

BISHOP: Now Sheila, I'm going to give you my personal card...
이제 Sheila, 내가 줄건데 너한테 내 개인 명함을...

EXT, POLICE STATION - LATER

The young cop stands outside smoking. He watches as the Bishop and Father Geoghan exit the police station and get into a town car, a driver behind the wheel.

stands outside smoking = stands outside + smoking가 합쳐진 거야. 두개 동작이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거지. 밖에 서서 담배를 피다. (담배를 피며 밖에 서있다)
exit the police station: exit이 여기서는 동사야. 비상구가 exit이니까 동사로 쓰면 '빠져 나가다' 정도의 의미가 돼. 경찰서를 빠져나가다.
get into a town car: a town car는 고급승용차야. get on처럼 get into도 타다가 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어. on은 어디에 타서 올라있는 거고 into는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에 더 초점을 맞추는 거야. 아무래도 높이가 낮은 고급승용차에 타는 거니까 get into가 좀 더 적합한 표현이 될 수 도 있겠지. 사실 쓰는 사람 마음 아닐까?
a town car = ˈlɪməziːn 이게 리무진이래.
the wheel = a steering wheel of vehicle or vessel. 운전대. 우리는 흔히 바퀴를 wheel로 부르지만 운전대랑 뜻도 있어. 운전대고 바뀌랑 같은 동그란 모양이잖아.

As the drive away, we hold on the cop, processing. Fade to black.

hold on the cop: hold on이니까 잠시 중지하는 거지. 전화상에서 hold on하면 '끊지 말고 기다려'라는 의미잖아.
fade to black: 화면이 서서히 사라지는게 fade야.  화면이 fade 되면서 black 으로 변하는 거야. 영어에서는 두가지 동작을 연결할 때 to 를 정말 자주써. 문법에서는 'to 부정사'라고 하는데, 이게 오해하기 쉬운 용어야. 일본에서 만든 한자어라 그런거 같아. 부정은 '모양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의미야. 따라서 어떤 형태로든 변형이 될 수 있다는 거야. 어렵게 이해하려 하지 말고 그냥 동작 두개를 연결할 때 쓸 수 있으니까 fade to black 과 같은 경우에 쓰면 돼.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